gradlew 로 wrapper를 사용할때 불편한 점은,
자동으로 생성되는 gradle wrapper의 distributionUrl 이 gradle site repository로 설정되어 있어,
인터넷 접근이 안되는 경우, 로컬 또는 특정 경로로 매번 변경해주어야 한다는 점입니다.
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.
1) 이미 사용중인 경우, wrapper의 gradle-wrapper.properties 파일을 변경하는 방법
2) 신규일 경우, wrapper를 생성할때, 사내 repository로 설정되도록 만드는 방법
먼저, 내부 gradle distribution repository 가 있다고 가정할 경우 입니다.
(로컬일 경우, 로컬 디렉토리내 파일 경로를 지정해주면 됩니다. )
1) 에 따라 직접 properties 파일을 수정할 경우에는
project-home/gradle/wrapper/gradle-wrapper.properties 파일의 다음 내용을 수정하면 됩니다.
( 버전은 실제 사용할 버전으로 변경하세요.. )
distributionUrl=http\://XXX.X.X.X/gradle-3.4.1-bin.zip
2) 의 경우, wrapper 를 만들때 해당 정보로 만들어지도록 설정하는 경우입니다.
build.gradle 에 wrapper task 정보를 추가합니다.
task wrapper(type: Wrapper) {
gradleVersion = ‘3.4.1’ // 실제 사용할 버전으로 변경
distributionUrl = “http://X.X.X.X/gradle-${gradleVersion}-bin.zip”
}
다음 명령으로 gradle wrapper 를 생성합니다.
gradle wrapper
or
gradlew wrapper
./gradle/wrapper/gradle-wrapper.properties 내용을 보시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[참고]
https://docs.gradle.org/current/userguide/gradle_wrapper.html
https://docs.gradle.org/current/dsl/org.gradle.api.tasks.wrapper.Wrapper.html